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세대 차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세대 차이는 연령, 시대적 상황, 출생 동기 집단 효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사회학, 심리학, 인구학 등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는 주제이다. 세대 차이는 가치관, 언어 사용, 기술 습득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정보화 시대의 급격한 변화는 이러한 차이를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직장 내에서도 세대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만, 기본적인 가치관에서는 공통점을 보이기도 한다. 세대 간 교류는 사회적 고립 문제를 해결하고 문화 전승을 위해 중요하며, 미국과 한국 사회에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대 - 단카이 세대
    단카이 세대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에서 태어난 많은 수의 인구를 지칭하며, 고도 경제 성장을 이끌었지만 고령화로 인해 사회적 부담을 가중시키고 일본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세대 - 비트 세대
    비트 세대는 194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까지 미국에서 일어난 문학 운동이자 문화 현상으로, 기성 사회에 반항하며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고 개인의 자유와 영적 탐구를 강조했다.
  • 가치관 - 정의
    정의는 각자에게 그의 몫을 돌려주려는 의지이자 불평등이 없는 상태를 추구하는 가치로, 서양에서는 사법적 의미가, 동양에서는 도덕적 당위성을 포함하며, 권리 행사와 제한에 적용되는 원리이다.
  • 가치관 - 공동체주의
    공동체주의는 개인보다 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하는 정치 철학으로, 자유주의에 반대하며 사회 자본과 시민 사회 제도를 강화하려 한다.
  • 노화 - 고령화
    고령화는 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유엔은 그 비율에 따라 고령화 사회, 고령 사회,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며, 출산율 저하와 평균 수명 증가의 복합적인 결과로 나타나 사회, 경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 노화 - 출생률
    출생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사회, 경제, 문화, 정책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아 세계적으로 감소 추세에 있고, 한국은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겪고 있다.
세대 차이
사회 현상
정의세대 간의 가치관, 사고방식, 행동 양식 등의 차이
원인사회 변화의 속도 차이
기술 발전의 격차
경험의 차이
가치관의 변화
긍정적 측면사회의 다양성 증진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의 원동력
상호 보완을 통한 발전 가능성
부정적 측면갈등과 오해 심화
소통 단절
사회 통합 저해
해결 방안상호 이해와 존중
적극적인 소통 노력
공통 관심사 찾기
교육을 통한 가치관 공유
관련 용어
신조어새로운 세대의 언어와 표현 방식
기성세대이전 세대를 지칭하는 용어
디지털 격차정보 기술 활용 능력의 차이
꼰대 문화자신의 경험을 강요하는 태도
역사적 배경
1960년대서구 사회에서 처음 등장, 젊은 세대의 반문화 운동과 기성세대의 가치관 충돌
현대 사회기술 발전과 사회 변화 가속화로 인해 더욱 심화
문화적 영향
영화세대 간 갈등을 다룬 다양한 영화 작품
음악각 세대를 대표하는 음악 스타일과 문화
문학세대 간 경험과 가치관 차이를 반영한 문학 작품
사회적 영향
정치세대별 지지 정당 및 정치 성향 차이
경제소비 패턴, 직업관 등의 차이
교육교육 방식 및 가치관 차이
세대 차이 극복 노력
가족가족 구성원 간의 대화와 이해 노력
직장세대 간 멘토링 및 협력 프로그램 운영
사회세대 간 소통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캠페인 진행

2. 세대차이의 원인

세대 차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크게 연령, 시기, 출생 동기 집단(코호트) 효과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연령(Age)'''은 생물학적 나이에 따른 차이를 의미한다.
  • '''시기(Period)'''는 경험한 시대적 상황이나 사회 구조의 차이를 반영한다.
  • '''출생동기집단(Cohort)'''은 특정 시기에 태어나 유사한 사회적 경험을 공유하는 집단을 의미한다.


이러한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세대 간의 가치관, 행동 양식, 문화적 차이를 만들어낸다.

1967년 룩 매거진에서 존 포피가 처음 "세대 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오랫동안 사회 진화의 저류를 이루던 현상에 이름을 붙였다. 이는 낡은 것과 새로운 것의 충돌을 부인할 수 없게 된 전환점을 의미했다. 실제로 프로츠코와 스쿨러는 기원전 624년부터 사람들은 이전 세대에 비해 현재 젊은 세대의 쇠퇴에 대해 불만을 토로해 왔다고 보고하며, 이를 "요즘 아이들 효과"라고 부른다.[3]

사회학, 심리학, 인구학에서 "'''세대'''"라는 말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첫 번째는 생년이 비슷한 집단, 즉 코호트로서의 "세대"를 의미한다. 두 번째는 부모 세대, 자녀 세대와 같이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분류되는 용법이다. 각 세대 간 구성원의 가치관이나 행동 양식은 다른 경향이 있으며, 그 단절로부터 갈등이나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30]

세대 차이를 단적으로 나타내는 말로는 "요즘 젊은이들은", "어른들은 몰라준다" 등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세대 차이는 라이프 사이클의 변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으로 여겨진다.[30] 고령자가 사회적 고립에 빠지는 문제점 중 하나는, 세대 간의 세대 차이에 의한 대립이나 번거로움이 고착화된 결과, 세대 간 교류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30] 세대 차이의 고착화는 문화 전승을 방해하거나, 에이지즘을 확대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밀턴 로키치가 1970년대미국의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실시한, 36가지 기본적인 가치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선택하는 조사 결과, 세대 간에 큰 차이가 있었던 것은 3가지 항목뿐이었다. 노년학자 어드먼 B. 팔모어는, 일반적인 이미지와 달리, 실제로는 기본적인 가치관은 세대 간에 큰 차이가 없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31]

2. 1. 연령 (Age)

세대 차이는 우선 생물학적 연령의 차이를 반영한다. 386세대를 예로 들면, '3'은 인생 주기에서 30대를 의미한다. 대개 10대의 철없음과 20대의 활발한 모험성에 비해 30대는 조금은 현실적이고 책임감 있게 행동하는 연령이다. 맹자는 당시 젊은 남녀들이 담장 너머로 서로 엿보는 것을 한탄하며 젊은 세대의 조급함과 버릇없음을 탓했는데, 이처럼 젊은 세대가 버릇없다고 보는 기성세대의 관념은 수천 년을 내려오면서도 크게 달라지지 않은 듯하다. 그러므로 맹자 시대에 10대와 30대의 차이가 있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지금도 10대와 30대의 차이가 존재한다.[33]

2. 2. 시기 (Period)

세대 차이는 경험한 시대나 사회구조의 차이를 반영한다. 예를 들어 '386세대'의 '8'은 1980년대를 의미한다. 1970년대가 억압된 권위주의 시대였다면, 1980년대는 권위주의 체제에 대한 저항을 통해 민주화를 이루고자 했던 질풍노도의 시기였다. 따라서 어느 시기에 어떤 사회 구조에서 성장했는지가 세대 간 차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33] 소설 '베니스의 개성상인'에서도 1950년대에 태어난 인물과 386세대인 20대 회사원들 간의 세대 차이가 나타난다. 전자는 집단주의를, 후자는 개인주의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북한에서도 1980년대에 한국전쟁을 겪은 세대와 전후 복구 시기에 태어난 세대 간의 갈등을 다룬 소설이 나왔다.[33]

2. 3. 출생 동기 집단 효과 (Cohort)

386세대에서 '6'은 1960년대에 태어난 집단을 의미한다. 이들은 연령과 시대를 배경으로 나이가 들어가면서 특정 시기에 특정 연령대로서 사회적 경험을 공유한 집단이다. 그러므로 386세대의 두드러진 동기효과는 한국전쟁 후 경제개발계획이 시작된 시기에 탄생해 1980년대 정치적 격변과 민주화투쟁기에 청년기를 보내고 이제는 40대 성인이 된 세대라는 의미가 된다.[33] 세대 차이라는 용어는 1960년대에 정립되었을지 모르지만, 그 본질은 이 용어를 훨씬 넘어선다. 역사를 통틀어 각 세대는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며, 시대의 본질을 독특한 문화, 예술, 혁신의 표현으로 만들었다.

카를 만하임과 같은 초기 사회학자들도 청소년이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세대 간의 차이를 언급했으며,[4] 세대가 가정, 사회적 상황 및 영역(예: 교회, 클럽, 노인 센터, 청소년 센터)에서 서로 분리되는 방식을 연구했다. 세대 간의 구분을 짓는 데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주요 세대 집단(사일런트 세대, 베이비 붐 세대, X세대, 밀레니얼 세대, Z세대, 알파 세대)에 이름이 부여되며, 각 세대는 자체적인 트렌드를 설정하고 고유한 문화적 영향을 미친다.

3. 세대차이의 양상

정보화 시대에 들어 세대 간의 차이는 그 양상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 주된 원인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가져오는 속도감이다. 사회 변화 속도가 빨라질수록 세대 간 차이는 커지는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기하급수적인 변화를 낳고 있어 과거 10년 차이보다 요즘 1년 차이가 더 크게 느껴진다.

오늘날 새로운 세대들은 상품 논리와 자유의식을 가지며, 인스턴트식품에 익숙하고, 집단보다는 자유를 추구하며 자신을 표현하는 데 능숙하다. N세대로 불리는 이들은 컴퓨터나 영상 매체에 더 익숙하며, 인기 스타를 모방하고 가상공간을 적극 활용한다.

현재는 한 시대에 서로 다른 세대들이 공존하고 있으며, 세대 간 차이는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한국 사회는 장로지배(Gerontocracy) 체제의 특성으로 인해 연령 위계와 직급 위계가 강한 수직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세대 간 차이가 갈등으로 드러날 가능성이 크다.

인터넷 이용률에서도 연령대별, 지역별, 성별 차이가 뚜렷하다. 정보통신부와 한국인넷정보센터의 2003년 정보화실태조사에 따르면, 20대와 50대 이상의 이용률 격차는 커지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대도시와 군 단위 지역 간 격차가 약 22%p에 달했다. 이러한 정보격차(:en:Digital Divide)는 컴맹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약자를 만들고,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을 단절시키기도 한다.

사회학, 심리학, 인구학에서 "세대"는 생년이 비슷한 집단(코호트) 또는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분류된다. 각 세대 간 가치관이나 행동 양식은 다른 경향이 있어 갈등을 일으킬 수 있다.[30] 세대 차이를 나타내는 말로는 "요즘 젊은이들은", "어른들은 몰라준다" 등이 있다. 고령자의 사회적 고립 문제 중 하나는 세대 간 교류가 사라지는 것이다.[30] 세대 차이가 고착되면 문화 전승을 방해하고 에이지즘을 확대시키기도 한다.

밀턴 로키치가 1970년대 미국에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세대 간 큰 차이를 보인 가치는 3가지뿐이었다. 노년학자 어드먼 B. 팔모어는 기본적인 가치관은 세대 간 큰 차이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31]

후지 뉴스 네트워크 프로그램에서 "전화 통화를 종료할 때 쓰는 의성어"에 대한 질문에 쇼와 시대 출생 세대는 "가찬", 헤이세이 시대 출생 세대는 "푸츤"이라고 답했는데, 이는 유선 전화와 휴대 전화에 대한 인식 차이를 보여준다.[32]

3. 1. 남녀차이와 세대차이

남녀 차이는 뇌 구조, 신체적 차이, 호르몬 차이, 또는 양육 방식의 차이로 설명되며, 이는 생물학이나 심리학의 영역이다. 예를 들어, 남성의 두뇌는 사냥에 적합하도록 터널 시야로 회로 조정되어 있어 쇼핑할 때 목적지로 직행하는 반면, 여성의 두뇌는 넓은 주변 시야를 감시하기에 적합하여 쇼핑할 때 여러 곳을 들러 점검한다는 설명이 있다.[34]

세대 차이는 같은 시기에 태어나 비슷한 경험을 공유하는 연령 집단인 코호트(:en:cohort) 간의 욕구와 이상의 차이로 설명된다. 집단을 세분화하면 남녀 차이보다 세대 차이가 더 크며, 이는 세대 차이를 극복하기가 더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성이나 이성 간에는 또래끼리 어울릴 기회가 많고, 젊은 시기에는 서로 이해하고 포용하려는 노력을 보인다. 하지만 세대 차이는 각자가 겪어온 삶이 '실존했던 삶'이고 '사실'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는 그것이 사실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을 깨닫기 어렵다.[34]

서로 다른 세대는 어울릴 기회도 적고, 어울리고 싶어 하지도 않는다. 오늘날 나이 든 사람들은 예전에는 상상할 수 없던 부분에서 세대 차이를 느끼고 있다.[34]

3. 2. 정보화 시대와 세대차이

정보화 시대에 들어 세대 간의 차이는 크게 달라지고 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사회 변화를 가속화하여 세대 간 차이를 더욱 크게 만들고 있다. 과거에는 10년 정도의 차이가 크게 느껴졌다면, 이제는 1년의 차이도 크게 느껴질 수 있다.[5]

N세대로 불리는 새로운 세대는 상품 논리와 자유의식을 중시한다. 이들은 인스턴트식품에 익숙하고, 집단보다는 개인의 자유를 추구하며, 자신을 표현하는 데 능숙하다. 컴퓨터나 영상 매체에 익숙하며, 가상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연예인을 모방하고, 연예인이 되기 위해 성형 수술도 마다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5]

특히 한국 사회는 장로지배(Gerontocracy) 체제의 특성이 강하여, 연령과 직급에 따른 수직적 구조가 강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세대 간 갈등이 다른 사회보다 더 심각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5]

세대 차이는 언어 사용에서도 나타난다. 새로운 세대는 은어와 속어를 사용하며, 이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초래하고 세대 간 단절을 심화시킨다.[5] 기술 발달과 함께 휴대 전화, 문자 메시지 등의 사용이 늘면서, 젊은 세대는 그들만의 독특한 언어 형태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8] 예를 들어, 속기와 같은 과거의 의사소통 기술은 새로운 세대에게는 생소한 것이 되었다.[9]

2011년 국립 수면 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잠자리에 들기 전 한 시간 안에 기술을 사용하는 비율이 95%에 달했다. 특히 Z세대와 Y세대는 문자 메시지 사용이 잦은 반면, 베이비붐 세대는 TV 시청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11]

후지 뉴스 네트워크의 프로그램에서는 전화 통화를 종료할 때 사용하는 의성어에 대한 세대 차이를 다루었다. 쇼와 시대 출생 세대는 "가찬"이라고 하는 반면, 헤이세이 시대 출생 세대는 "푸츤"이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각 세대가 전화에 대해 가지는 인식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다.[32]

3. 3. 디지털 격차와 세대차이

인터넷 이용률 측면에서 연령, 지역, 성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정보센터가 2003년 6월에 실시한 정보화실태조사에 따르면, 20대와 50대 이상의 인터넷 이용률 격차는 시간이 지날수록 커지고 있다. 이는 나이에 따라 인터넷을 배우는 능력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대도시와 중소도시의 이용률은 각각 66.1%, 66.4%로 비슷했지만, 군 단위 지역은 44.2%로 나타나 약 22%p의 격차를 보였다. 성별 인터넷 이용률 격차는 지역별, 연령별 격차보다는 작지만, 1999년 조사 시작 이후 11∼15%p 사이를 오가며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정보격차(:en:Digital Divide)는 컴맹이라는 새로운 사회적 약자를 만들고 있다. 정보는 현대 사회의 핵심 자원이며, 정보 접근성의 격차는 새로운 세대 갈등, 지역 갈등, 성차별 등을 야기한다. 정보 활용 능력 부족은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을 단절시키기도 한다.

3. 4. 언어 사용과 세대차이

세대 차이는 언어 사용의 차이로 나타나며, 이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언어 격차를 만들어낸다.[5] 새로운 세대는 이전 세대와 자신을 구별하기 위해 새로운 은어와 속어를 사용하며, 이는 세대 간의 분리감을 형성한다.[5] 속어는 사회적 맥락에서 세대 차이를 확립하고 유지하기 위한 빠르고 쉬운 언어적 수단으로 활용된다.[6]

기술 발달은 세대 간 언어 사용의 차이를 더욱 심화시켰다. 예를 들어, 기성세대는 격식을 갖춘 글쓰기 및 말하기 능력을 '의사소통 능력'으로 여기는 반면, 젊은 세대는 이메일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한다.[7] 휴대 전화와 문자 메시지의 발달로 인해 "문자 사용자" 사이에서는 속어나 문자 언어가 발달하여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소외되기도 한다.[8] 젊은 세대는 휴대폰, 인스턴트 메시지, 이메일 등을 통해 자신만의 창의적이고 사적인 문어체를 만들어 사용하며, 이는 기성세대와의 소통 방식을 변화시킨다.[8]

20세기에 사용되었던 속기는 새로운 기술과 키보드의 등장으로 새로운 세대에게는 낯선 의사소통 기술이 되었다.[9]

2011년 국립 수면 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잠자리에 들기 전 전자기기 사용에 있어 세대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났다. Z세대의 56%, Y세대의 42%가 매일 밤 문자 메시지를 사용하는 반면, X세대는 15%, 베이비붐 세대는 5%에 불과했다. 베이비붐 세대는 TV 시청(67%)을, 밀레니얼 세대는 컴퓨터/인터넷 사용(49%)을 더 선호했다.[11]

Language brokering영어 (언어 중개)는 서로 다른 모국어를 사용하는 가족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12] 이민자 가정에서 1세대는 주로 모국어를, 2세대는 현재 거주 국가의 언어와 부모의 모국어를, 3세대는 현재 거주 국가의 언어만을 주로 사용하며 조부모의 모국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 경우 2세대 가족 구성원이 통역사 역할을 하며, 이는 세대 간의 언어적 차이와 분열을 더욱 심화시킨다.[13] 언어 중개는 이민자 자녀들을 가족 활동과 시민 사회에 통합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4] 이는 아동 통합에 중요하며, 관찰 학습을 통해 아동 발달을 돕는다.

예를 들어, 후지 뉴스 네트워크의 프로그램에서는 전화 통화를 종료할 때 사용하는 의성어에 대한 세대 차이를 보여주었다. 쇼와 시대 출생 세대는 "가찬"을, 헤이세이 시대 출생 세대는 "푸츤"을 사용하는데, 이는 유선 전화의 수화기를 내려놓는 모습과 휴대 전화의 스위치를 끄는 모습의 차이를 반영한다.[32]

3. 5. 직장 내 세대차이

기술 발달과 함께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 간의 이해의 간극이 벌어졌다. 예를 들어 '의사소통 능력'이라는 용어는 기성세대에게는 격식을 갖춘 글쓰기 및 말하기 능력을 의미할 수 있지만, 20대에게는 이메일과 인스턴트 메신저 사용 능력을 의미할 수 있다.[7]

''USA Today''는 젊은 세대가 "인구 변화와 점점 더 다세대화되는 직장 환경에 직면하여 직장에 진입하고 있다"고 보도했다.[15] 여러 참여 연구에 따르면 이처럼 다세대화되는 직장 구성원들이 세대 간 격차를 넘어 공유하는 관심사는 상당히 다를 수 있다.[16]

연구자들은 밀레니얼 세대가 자신의 능력에 대해 비교적 더 자신감을 보인다는 증거를 발견하고, 그들이 '성적이 부풀려지고 표준화된 시험을 치르는 교육 시스템에 의해 고무되었다'고 추측하며, 이것이 다른 세대의 동료들과의 관계를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17] 밀레니얼 세대는 대침체 기간 동안, 부모가 장시간 일했지만, 결국 구조 조정과 해고의 희생양이 되는 것을 직접 목격했다.[18] 이러한 이유로 밀레니얼 세대는 직무 조건을 협상할 가능성이 더 높다.[19]

밀레니얼 세대는 성장하면서 부모, 교사, 코치를 칭찬과 지원의 원천으로 여겼다. 이들은 관리자로부터 빈번하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으려는 강한 욕구를 발전시켰다. 오늘날, 관리자들은 종종 부담스럽다고 생각하면서도 부하 직원의 생산성을 매우 자주 평가한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의 급여와 직원 복지는 이 세대에게 그들이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밀레니얼 세대는 성공을 갈망하며, 고임금 직업이 그들을 더 성공적으로 느끼게 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19]

밀레니얼 세대의 학창 시절에 팀 프로젝트와 발표가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이 세대는 동료와 협력하고 심지어 친밀한 우정을 쌓는 것을 즐긴다. 팀의 일원으로서 일하는 것은 혁신을 강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인건비를 절감한다. 관리자들은 밀레니얼 세대가 결정을 내릴 때 팀원에게 의존함으로써 위험과 독립적인 책임을 회피하여 자신의 능력을 보여주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발견한다.[17]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세대 간 격차는 기술에 대한 세대 간 관계에 관한 것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과도한 의존이 밀레니얼 세대를 대면 상호 작용 및 언어적 단서에 덜 능숙하게 만들었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밀레니얼 세대가 멀티태스킹, 시각적 자극에 대한 반응, 정보 필터링에 비교적 더 효과적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20]

그러나 참여 연구에 따르면, 기성세대 근로자와 새로운 세대의 근로자는 세대 간의 격차를 넘어 여러 주제에 대해 비슷한 생각을 공유한다. 그들의 의견은 유연 근무 시간/근무 형태, 승진/보너스, 컴퓨터 숙련도의 중요성, 리더십에 대해 겹쳐진다. 또한,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근로자 대다수가 매일 출근하는 것을 즐기고 최선을 다하려는 의욕을 느낀다.[18]

2020년에 NAS은 직장 세대 간 차이에 대한 문헌 검토를 완료하여 직무 만족도, 관리자의 인식, 성격을 포함한 다양한 측정을 살펴보았다. 많은 연구에서, 그 효과가 개인의 세대의 결과인지, 아니면 개인의 나이 또는 역사적 사건/트렌드의 결과인지 추측하기 어렵다고 보고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태도를 추적한 연구 중, 이 검토는 미미한 효과를 발견하고 다음과 같이 작성했다. ''“동일한 ‘세대’의 개인은 서로 다른 세대의 개인과 마찬가지로 서로 다를 가능성이 있다.”'' [21] 다른 연구자들도 비슷한 결론을 내렸다.[22][23][24][25]

4. 세대 의식

세대 의식은 사회학자 카를 만하임이 연구한 세대 구분을 위한 또 다른 방법이다. 세대 의식이란, 특정 집단의 사람들이 공유된 관심사와 가치관에 의해 자신들의 위치를 자각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사회적, 경제적, 또는 정치적 변화는 비슷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이러한 사건들을 함께 경험하게 하고, 그로 인해 세대 의식을 형성하면서 공유된 관심사와 가치관에 대한 인식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경험은 어린 나이에 개인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다른 세대와 구별되는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세상을 해석하기 시작하게 된다.[26]

5. 세대 간 교류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2012년 보고서에 따르면, 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은 사망률 증가와 관련이 있다.[27] 세대 간 동거는 이러한 감정을 극복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네덜란드 데벤터의 한 요양원에서는 지역 대학교 학생들에게 요양원 내 작고 임대료가 없는 아파트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그 대가로 학생들은 매달 최소 30시간을 자원봉사하여 노인들과 시간을 보낸다. 학생들은 노인들과 함께 스포츠를 시청하고, 생일을 축하하며, 아프거나 어려울 때 함께 해준다.[27]

1990년대 중반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는 네덜란드와 유사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스페인 프로그램에서는 학생들이 노인들의 집에 배치되어, 노인들과의 교류를 대가로 저렴하거나 무료 주택을 제공받았다. 이 프로그램은 곧 스페인 전역의 27개 다른 도시로 확산되었으며, 유사한 프로그램은 프랑스 리옹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28]

고령자가 사회적 고립에 빠지는 문제점 중 하나는 세대 간의 세대 차이로 인한 대립이나 번거로움이 고착화되어 세대 간 교류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이다.[30] 세대 차이의 고착화는 문화 전승을 방해하거나, 에이지즘을 확대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6. 미국 사회의 세대차이

1940년대와 50년대의 세대가 성장하면서 10대와 그들의 부모 세대 간의 문화적 차이가 커졌다. 신결혼 문화와 텔레비전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격차가 더욱 심화되었다. 구세대는 젊은 세대의 행태를 소년 범죄로 바라보았고, 50년대 젊은 세대의 패션, 음악 등의 이질감으로 세대 간 문화 차이가 생겨났다. 심지어 미국 FBI 국장 J. 에드거 후버는 이러한 새로운 음악 유행을 '부패의 영향'으로 치부했다.[35] J.D. 샐린저의 1951년 소설 'The Catcher in the Rye'에 등장하는 주인공 홀든 콜필드는 당시의 신세대를 반항아로 치부하는 구세대의 선입견에 못을 박는 인물로 묘사되었다.

1960년대 중반에서 말까지, 동남아시아 전쟁, 반문화적 히피들의 등장, 참전 용사 징병, 미국의 베트남 참전, 미군들의 마약 사용은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며 당시의 견해 차이로 인한 세대 차이를 부각시켰다.

1969년 9월에 발간된 예술가 노먼 밍고의 'Mad Magazine' 129호 표지에서 왼쪽에 위치한 구세대를 나타내는 알프레드 E. 뉴먼은 '나의 조국: 정의 혹은 부정(:en:My Country- Right or Wrong)'이라고 적힌 장식품을 달고, 오른쪽에는 신세대를 뜻하는 긴 머리의 알프레드의 아들은 '전쟁이 아닌 사랑을(:en:Make Love Not War)'이라고 적힌 것을 달면서 세대 차이가 표현되었다. 이 잡지의 겉표지 표제어는 '그릇된 문화가 세대 차이를 부추긴다(Mad widens the Generation Gap)'라고 표기되었다.[36] 미국 텔레비전 프로그램 시리즈인 'All in the Family'는 세대 차이에 무게를 두고 제작되었다. 이 드라마에서는 보수적인 중년 남자가 독립적인 부인, 자유분방한 딸과 사위들 사이에서 겪는 세대 차이 문제를 그렸다.

1970년대와 1980년대는 방관적인 자녀 양육 문제로 특징지어진다. 맞벌이 부부의 느슨한 자녀 양육 문화로 자녀가 스스로 귀가하는 모습이 비춰졌다. X세대는 50년대와 60년대의 가정 중심 문화와 80년대 말부터 현재까지 대변되는 '아이가 타고 있어요(:en:Baby on Board)' 양육 문화 사이에 존재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성도덕, 신기술, 정치, 직업 양식, 미성년자 문제, 성인 문제, 교육 문제 등 각종 정치적, 문화적 관점에서 세대 간의 시각차가 발생하면서 XY세대와 베이비부머 세대 사이에 세대 차이가 발생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베이비부머 세대는 60년대 후반에 성장했기에 자녀 세대들의 문화적 차이를 비교적 이해하기 수월했으며, 60년대 이전의 세대보다 공감대 형성이 쉬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MTV와 같은 미디어에 비춰진 10대들의 모습은 부모 세대에 걱정을 야기했으며, 오늘날 십 대나 젊은 세대들의 문화적 이질감을 심화시켰다.

미국 이민자들은 미국적인 기준을 따르라는 사회적 압력 속에 삶의 모든 영역에서 전방위로 압박을 받는다. 이민자의 삶은 엄청난 스트레스를 견디면서 생존을 위해 필사적으로 미국적인 기준을 수용하려고 노력하는 삶이 될 수밖에 없다. 이민 1세대의 경우 영어도 문제이지만, 모국에서 성장기에 몸에 밴 가치관이나 생활 습관은 미국에 와서도 좀처럼 바꾸기 힘든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미국에서 성장한 자녀들은 미국적인 가치관과 생활 습관을 갖게 되어 이민 가정의 세대 간 갈등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 부모는 집단주의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나 자식들은 미국인의 개인주의적 가치관을 습득하게 됨으로써 부모와 자식 세대 간에 깊이 있는 대화가 단절되는 상황이 흔히 연출된다.[37]

7. 한국 사회의 세대차이

사회학, 심리학, 인구학에서 "세대"라는 말은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첫 번째는 생년이 비슷한 집단을 가리키거나, 세상 형편이나 시대 배경을 공유하고 가치관이나 행동 양식을 동일하게 하는 집단을 가리키는 코호트로서의 "세대"이다. 다른 하나는 부모 세대·자녀 세대와 같이, 라이프 사이클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 어느 경우든, 각 세대 간 구성원의 가치관이나 행동 양식은 다른 경향이 있으며, 그 단절로부터 갈등이나 마찰을 일으킬 수 있다.[30]

세대 차이를 단적으로 나타내는 말로는 "요즘 젊은이들은", "어른들은 몰라준다" 등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세대 차이는 라이프 사이클의 변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으로 여겨진다.[30] 한편, 고령자가 사회적 고립에 빠지는 문제점 중 하나로, 세대 간의 세대 차이에 의한 대립이나 번거로움이 고착화된 결과, 세대 간 교류가 사라지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30] 세대 차이의 고착화는 문화 전승을 방해하거나, 에이지즘을 확대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Milton Rokeach영어1970년대미국의 모든 연령층을 대상으로 36가지 기본적인 가치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선택하는 조사를 한 결과, 세대 간에 큰 차이가 있었던 것은 3가지 항목뿐이었다. 노년학자 어드먼 B. 팔모어는, 일반적인 이미지와 달리, 실제로는 기본적인 가치관은 세대 간에 큰 차이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31]

8. 인구 통계학적 측면

베이비 붐 세대와 이전 세대는 인구 통계학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이전 세대는 베이비 붐 세대보다 인종 및 민족 구성이 덜 다양하며, 이는 문화적 격차를 심화시킨다. 베이비 붐 세대는 대체로 교육 수준이 더 높고, 여성의 노동 시장 참여율이 더 높으며, 전문직 및 관리직 종사 비율도 더 높다.[29] 이러한 차이는 지역 사회 선호도 및 소비 관련 문제들을 야기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generation gap https://www.dictiona[...] 2019-03-25
[2] 웹사이트 Cambridge Dictionary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ssessment 2023
[3] 논문 Kids these days: Why the youth of today seem lacking 2019-10-16
[4] 문서 2013
[5] 서적 Generation Gap, a Sociological Study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s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1992-12-01
[6] 문서 Slang and Sociability Chapel Hill Press: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1996
[7] 뉴스 Today's Generations Face New Communication Gaps https://www.usatoday[...] 2002-11-15
[8] 뉴스 Text Generation Gap: U R 2 Old (JK) https://www.nytimes.[...] 2008-03-09
[9] 웹사이트 Gregg Shorthand http://gregg.angelfi[...]
[10] 서적 On the Frontier of Adulthood: Theory, Research, and Public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5
[11] 간행물 National Sleep Foundation 2011 "Sleep in America" Poll https://sleepfoundat[...] 2011
[12] 논문 Language brokering in linguistic minority communities: The case of Chinese- and Vietnamese-American students
[13] 논문 Once a broker, always a broker: Non-professional interpreting as identity accomplishment in multigenerational Italian-English bilingual family interaction
[14] 문서 Language brokering: Practicing active citizenship https://web.archive.[...] 2014-06-06
[15] 뉴스 Generation Y: They've arrived at work with a new attitude http://usatoday30.us[...] 2005-11-06
[16] 뉴스 Winning the generation game https://www.economis[...] 2013-09-26
[17] 논문 Millennials in the Workplace: A Communication Perspective on Millennials' Organizational Relationships and Performance
[18] 웹사이트 Millennial and mature workers attitudes align https://www.randstad[...]
[19] 논문 New Generation, Great Expectations: A Field Study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20] 논문 Millennials and the World of Work: An Organization and Management Perspective
[21] 서적 Read "Are Generational Categories Meaningful Distinctions for Workforce Management?" at NAP.edu https://nap.national[...] 2020
[22] 논문 Generation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Debunking Myths in Organizational Science and Practice and Paving New Paths Forward 2020-09-04
[23] 논문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workplace: A review of the evidenc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Workplace https://onlinelibrar[...] 2014-02
[24] 논문 Gener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Attitudes: A Meta-analysis https://link.springe[...] 2012-12-01
[25] 논문 Generational Differences in Work Ethic: Fact or Fiction? https://link.springe[...] 2017-06-01
[26] 서적 Youth Studies: An Introduction Routledge 2013
[27] 웹사이트 Dutch nursing home offers rent-free housing to students https://www.pbs.org/[...] 2015-04-05
[28] 웹사이트 Intergenerational Living https://web.archive.[...] 2013
[29] 간행물 Baby Boomers and the New Demographics of America's Seniors American Society on Aging 2010
[30] 서적 世代間ギャップ ミネルヴァ書房 2016
[31] 서적 エイジズム:高齢者差別の実相と展望 明石書店 2002
[32] Youtube 昭和生まれがバレる言葉!? 電話「ガチャ切り」?「プツン」? https://www.youtube.[...] 2020-10-26
[33] 문서 정보화로 가는 길 2000-08
[34] 문서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칼럼 2009-09-08
[35] 문서 '1950 Ad | New York Times Upfront | Find Articles at BNET'
[36] 서적 MAD Cover to Cover Watson-Guptill Publications, New York 2000
[37] 서적 미국 문화의 기초 한울아카데미 20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